반응형

산업인사이트 9

화장품 수출 100억 달러 돌파… 그런데 아직 시작일 뿐

- 스킨케어 중심 구조와 산업 확장의 과제 한국 화장품은 'K-뷰티'라는 이름으로 전 세계에 널리 알려져 있다. 한류 콘텐츠의 확산과 함께 자연스러운 피부 표현, 기능성 중심의 스킨케어 루틴이 주목받았고, 글로벌 소비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그러나 '인지도'와 '산업 성장'은 다르다. 지금까지 K-뷰티는 '문화'로는 자리 잡았지만, '산업'으로서의 무게감은 아직 부족하다.  1. 수출은 늘었지만, 산업 규모는 여전히 작다2024년, 한국 화장품 수출액은 사상 최초로 102억 달러를 넘어섰다. 세계 4위의 화장품 수출국이라는 타이틀은 확실한 성과다. 하지만 전체 한국 수출액이 6,838억 달러임을 고려하면, 화장품의 수출 비중은 1.5% 수준에 불과하다.화장품은 소비재 산업이며, 고부가가치 품목이지만..

[분석] 허리가 끊길 만큼 물린 삼성SDI, 지금 어디쯤 와 있을까?

솔직히 말하자.나는 삼성SDI에 허리가 끊길 만큼 물려 있는 주주다.아무리 객관적으로 보려 해도, 매일 계좌를 볼 때마다 마음은 무너진다.하지만 이번엔 감정을 내려놓고 삼성SDI의 현재 위치와 미래 가능성을 진지하게 분석해보려 한다.지금 이 회사는 정말 저평가일까? 아니면 구조적으로 성장성이 꺾인 걸까?   삼성SDI는 지금 어디쯤 와 있을까 - 배터리 3사 실적 비교먼저 국내 2차전지 대표 3사의 실적을 비교해보자.[국내 배터리 기업 실적 비교]기업명2024년 예상 매출(조원)2024년 영업이익률(%)전년 대비 매출 성장률(%)2025년 매출 가이던스(조원)삼성SDI237.5-3.025LG에너지솔루션304.22.533SK온10-5.0-10.011삼성SDI는 영업이익률 면에서는 여전히 탄탄하지만, 매출 ..

산업인사이트 2025.04.11

삼성전자, 최대 매출에도 웃지 못한 이유

1. 숫자는 사상 최대, 내용은 글쎄삼성전자가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다.매출은 79조 원으로 1분기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삼성전자 공식 발표에 따르면 전년 동기 대비 9.84% 늘어난 수치다.하지만 영업이익은 6조 6천억 원으로, 전년과 거의 차이가 없다. 증가율은 고작 0.15%.영업이익률은 약 8.4%에 불과하다.매출은 30% 넘게 늘었는데, 이익은 그대로라는 건 구조적으로 문제가 있다는 뜻이다.2. 물량으로 밀어붙인 실적, 경쟁사와의 격차실적 설명 자료에선 ‘갤럭시 S25의 흥행’, ‘D램 출하량 확대’ 등이 실적 개선 요인으로 언급됐다.하지만 실제 사업부별 수익 구조는 공개되지 않았다.갤럭시 S25는 출시 후 21일 만에 국내 판매량 100만 대를 돌파하며 흥행했지만,플래그십 모델..

산업인사이트 2025.04.08

경제 유튜버는 왜 디테일을 숨길까?

유튜브 알고리즘은 생각보다 강력하다하나의 경제 유튜브 영상을 보기 시작하면, 알고리즘은 곧바로 관련된 영상 수십 개를 밀어낸다. 투자, 주식, 부동산, ETF… 화면을 몇 번만 넘기면 누가 봐도 "이 사람, 전문가인가 보다" 싶을 정도의 영상들이 끝도 없이 이어진다. 그 중 몇 개는 정말 유익한 정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확인되지 않은 주장, 자극적인 제목, 그리고 ‘불안’이나 ‘욕망’을 자극하는 이야기들이다.누구나 전문가처럼 보이는 시대조명, 자막, 목소리 톤, 배경 이미지까지. 요즘 유튜브 영상은 뉴스보다 더 그럴싸하다. 말하는 사람의 이름이 익숙하지 않아도, 분위기만 보면 “이 사람 말, 믿어도 되겠는데?”라는 생각이 절로 든다. 그런데 잘 보면, 경력이나 자격이 명확하지 않거나, 내용의 ..

산업인사이트 2025.04.04

내가 사랑한 아이돌은 존재하지 않았다 – 버추얼 휴먼 산업의 불편한 진실

존재하지 않는 존재를 사랑하게 된 시대가상과 현실의 경계를 허무는 새로운 산업이 떠오르고 있다. 바로 '버추얼 휴먼 산업'이다. 인간처럼 말하고 웃으며 감정을 표현하는 디지털 존재들이 광고, 방송, 고객 응대, 심지어 K-POP 무대 위에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 글은 단순한 기술 소개가 아니다. 우리는 왜 존재하지 않는 존재를 사랑하게 되었는가, 그리고 그들이 산업의 최전선에 서 있다는 사실이 무엇을 의미하는가를 다룬다.인스타그램을 스크롤하다가 멈췄다. 익숙한 표정, 스타일리시한 옷차림, 수십만 개의 좋아요. 사진 속 소녀는 누가 봐도 인기 있는 셀럽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그녀는 존재하지 않았다. '릴 미켈라', 미국의 버추얼 인플루언서. 사진 속 인물은 사람이 아닌, AI와 3D 기술로 만들어진 디..

산업인사이트 2025.04.03

비만은 질병이다 – 치료의 시대를 연 비만케어 산업의 현재와 미래

1. 다이어트 시장을 넘어 '치료 시장'으로비만으로 고통받는 많은 사람들은 수없이 다이어트를 시도하고, 또 실패하며 좌절을 반복한다. 그 과정에서 자존감은 점점 무너지고, 비난의 화살은 늘 개인의 의지 부족으로 향한다. 하지만 최근 들어 '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새로운 전환점이 마련되고 있다.이 글에서는 비만을 질병으로 경험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시선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는 비만 치료 산업의 흐름과 변화, 그리고 그 안에 담긴 가능성과 한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2. 글로벌 비만케어 시장 구조치료 방식구성 요소활용 방식 및 특징약물치료GLP-1 계열 주사제 (삭센다, 위고비 등)병원에서 처방받아 주사 또는 경구 투약, 의료진의 관리 필요건강기능식품CLA, 가르시니아 등일반 ..

산업인사이트 2025.04.03

우린 왜 유튜브를 끊지 못할까?

1. 영상 콘텐츠 산업의 본질과 발전 배경영상 콘텐츠 산업은 텍스트, 이미지, 음성, 시각효과가 결합된 가장 종합적인 콘텐츠 형태다. 과거 동굴 벽화에서 시작된 인간의 커뮤니케이션은 문자, 책을 거쳐 영상으로 진화했고, 영상은 인간의 감각 중 가장 직관적인 시각을 기반으로 정보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가장 원초적이면서도 진보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기술의 발전, 특히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과 인터넷 속도의 향상은 영상 콘텐츠 소비를 일상화시켰다. 누구나 스마트폰 하나로 제작과 소비가 가능해지면서 산업은 폭발적으로 성장했고, 지금도 변화는 계속되고 있다.2. 인간은 왜 영상에 열광하는가?인간의 뇌는 시각 정보를 빠르게 처리한다. 영상은 글보다 빠르고 쉽게 이해되며, 감정이입과 몰입이 쉬워 본능적으로 끌릴 수밖..

산업인사이트 2025.04.03

SK하이닉스가 선점한 HBM, 삼성은 다시 일어설 수 있을까?

최근 반도체 업계에서 가장 많이 들리는 단어 중 하나가 바로 **HBM(High Bandwidth Memory)**이다. 특히 SK하이닉스가 이 시장에서 독주하면서, 반도체 패권의 중심이 '로직(Logic)'에서 다시 '메모리(Memory)'로 돌아오고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그렇다면 도대체 HBM이 뭐길래 이렇게 주목받는 걸까? 그리고 전통의 강자 삼성전자는 왜 이 싸움에서 주춤하고 있을까?이 글은 기자나 전문가가 아닌 한 사람의 관심 많은 소비자, 산업 관찰자의 시선에서 주관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다. 거대한 기술과 기업 이야기를 조금 더 인간적인 온도로 바라보고자 한다. 삼성전자에 대한 지적이 다소 아플 수 있지만, 이는 우리나라 대표 기업에 대한 애정과 응원의 마음이 담긴 비판이라는 점을 먼저 밝힌다..

산업인사이트 2025.04.03

트럼프의 '상호관세' 선언, 한국 경제에 진짜 닥칠 일은?

2025년 4월,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다시 한번 세계 경제의 중심에 섰다. 그가 제시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는 겉보기에 단순하다. 상대국이 미국에 부과하는 만큼의 관세를 미국도 동일하게 매긴다는 것. 하지만 이 조치가 실제로는 자유무역 체제를 뒤흔드는 강력한 보호무역 수단이라는 점에서, 전 세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무엇보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나라다. 그러다 보니 업종별로 상반된 반응이 나오고 있다. 조선과 방산 산업은 기대감에 차 있지만, 반도체와 2차전지 업계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이유를 하나씩 짚어보자. 1. 트럼프는 왜 상호관세를 밀어붙일까?트럼프의 목표는 분명하다. 무너진 미국 제조업을 다시 일으켜 세우는 것. 그는 관세를 "해..

산업인사이트 2025.04.03
반응형